티스토리 뷰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이렇게해요.
요식업이나, 위생관련된 제조업에서 일하려면 필수적으로 보건증을 발급 받으셔야 하는데요, 보건증을 발급 받지 않으신 분들은 발급 받은후에 해당 직종에서 근무할 수 있는데요.
보건증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가까운 보건소나 보건증을 발급 받을수있는 법령상 의료기관에서 검사 한 후에 발급받으면 쉽게 발급이 가능한데요, 그렇다면 발급받기에 앞서서 어떤것들을 미리 준비해가야할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실때는 신분증과 현금 3,000원을 꼭 챙겨가야 하는데요. 신분증의 종류로는 학생증, 여권,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같은 본인의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되어있는 신분증을 챙겨가셔야 합니다. 3,000원은 보건증 발급시에 수수료로 지급해야 하기때문에 꼭 가져가시는것이 좋답니다.
발급받으신후에 나중에 일주일정도 기간이 지나서 보건증을 받으러 다시 가셔야 하는데요. 본인이 직접 받지 못할경우에는 영수증과 발급하시는 분의 신분증을 지참하셔서 대리수령이 가능합니다.
만약 보건증을 발급받지않고, 업장에서 근무하다가 걸릴시에는 위생법 위반으로 근무가 불가능하고 업주는 과태료 50만원을 내야하기때문에 이점때문에 꼭 발급 받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은 어디서 해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G-health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가장 메인화면에서 증명서 발급을 누르시게되면 바로 제증명 발급할 수 있는데요, 본인의 컴퓨터에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공인인증서로 쉽게 확인하시면되고, 휴대폰이나 아이핀으로 본인 확인 후에 간단하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1년이기때문에, 1년마다 확인하신 후에 해당 홈페이지에서 재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김고고 레츠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CDaemon, 프로그램 정보 확인 (0) | 2019.02.14 |
---|---|
쇼퍼랜드 배송기간, 이정도라고? (0) | 2019.02.13 |
킴성태 이어폰 뭐쓰길래, 사플 이어폰? (0) | 2019.02.11 |
원링스팸, 이것만알면 안당할수있어! (0) | 2019.02.10 |
교통카드 돈빼기, 이렇게 하면 쉬워 (0) | 2019.02.09 |